이번 지원은 현금뿐만 아니라 지역사랑상품권 형태로도 지급되어 지역 상권 활성화에 기여하고, 사용 편의성까지 갖췄습니다. 신청은 간편하며, 온라인·오프라인·앱 모두에서 가능하니 빠르게 신청하세요!
✅ 신청 방법
온라인 신청은 정부24 또는 해당 지방자치단체 웹사이트에서 가능하며, 본인 인증 후 민생지원금과 지역화폐 동시 신청란을 선택합니다. 필요한 서류(주민등록등본, 통장사본, 신분증)와 함께 ‘지역화폐 지급 희망’ 항목에 체크하면 신청 완료됩니다.
오프라인 신청은 주민센터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접수로, 담당자 안내에 따라 민생지원금과 지역화폐를 함께 신청할 수 있습니다. 현장에서 ‘지역화폐’ 수령 방식(카드, 모바일 앱 등)을 미리 선택하면, 이후 해당 방식으로 지급됩니다.
모바일 앱 신청은 정부24 앱 또는 지자체 전용 앱을 통해 진행하며, ‘지원금+지역화폐 신청’ 메뉴에서 항목을 모두 선택하면 됩니다. 본인 인증 후 서류 업로드를 완료하면, 신청 후 알림으로 지급 계획 안내를 받을 수 있습니다.
✅ 대상 조건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가구 중 대한민국 국적자이며, 지역화폐 지급을 희망하는 자에 한해 지급됩니다. 민생지원금과 동일한 소득·재산 기준이 적용되며, 지역화폐 수령 방식 별로 추가 조건은 없습니다.
다만, 동일 가구 내 고소득자 포함 시 지원 제외될 수 있으며, 공적 연금 수급이나 타 지원금 수령 여부에 따라 일부 제한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 사용 가능 업종은 지자체별로 상이하므로 신청 전 반드시 확인이 필요합니다.
분류/유형 | 기준/조건 | 지원 내용 |
---|---|---|
유형 1 |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청년(19~34세) | 현금 25만원 + 지역화폐 5만원 (월 30만원) |
유형 2 | 중장년층(35~64세),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현금 20만원 + 지역화폐 5만원 (월 25만원) |
유형 3 | 고령층(65세 이상),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 현금 15만원 + 지역화폐 5만원 (월 20만원) |
유형 4 | 장애인 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 현금 30만원 + 지역화폐 5만원 (월 35만원) |
유형 5 | 한부모 가구, 기준 중위소득 55% 이하 | 현금 35만원 + 지역화폐 5만원 (월 40만원) |
✅ 지급 금액
지급 금액은 가구 유형별로 차등 지급되며, 현금과 지역화폐를 결합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예를 들어, 서울시에 거주하는 A씨(청년 1인 가구)는 매월 25만원 현금과 5만원 지역화폐를 받습니다. 추가 난방비, 교육비 등 수당은 현금으로 별도 지급됩니다.
지급 산정 방식은 가구원 수·소득·재산에 따라 달라지며, 지역화폐는 지자체 지정 가맹점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아래 표는 대표 사례를 들어 정리한 것입니다.
가구 유형 | 현금 | 지역화폐 | 추가 수당 | 총 지급액 |
---|---|---|---|---|
청년 1인 가구 | 25만원 | 5만원 | 난방비 5만원 | 35만원 |
중장년 2인 가구 | 20만원 | 5만원 | 난방비 5만원, 교육비 3만원 | 33만원 |
고령층 1인 가구 | 15만원 | 5만원 | 난방비 5만원, 치매예방 2만원 | 27만원 |
장애인 가구 | 30만원 | 5만원 | 의료비 10만원 | 45만원 |
한부모 가구 | 35만원 | 5만원 | 양육비 15만원 | 55만원 |
✅ 유효기간
신청 기간은 2025년 8월 1일부터 2026년 7월 31일까지이며, 이후 1년간 지원 가능하지만 예산 소진 시 조기 종료될 수 있습니다. 지역화폐도 동일 기간 내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하니 주의하세요.
신청하지 않을 경우 자동 제외되며 재신청은 불가하지만, 코로나 등 특별 사유 인정 시 예외 가능성 있습니다. 지역화폐 유효기간도 만료 30일 전부터 연장 신청이 가능하며, 지자체 심사를 거쳐 연장됩니다.
연장 신청은 정부24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가능하며, 유효기간 연장 신청 시 현금·지역화폐 모두 연장 대상이 됩니다. 연장 승인은 보통 10~14일 소요됩니다.
✅ 확인 방법
온라인 신청 결과는 정부24 또는 지자체 사이트 ‘신청 내역 조회’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지역화폐 지급 예정 내역도 함께 표시됩니다. 모바일 앱 ‘마이페이지→지원금/지역화폐’에서 실시간 조회가 가능합니다.
오프라인으로 신청한 경우 접수증 번호로 주민센터 또는 유선 문의를 통해 결과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결과 통화 시 현금·지역화폐 지급 방식 모두 안내받습니다. 지급까지 보통 5~7일 소요됩니다.
지급 결정 후 현금은 등록 계좌로, 지역화폐는 신청한 카드나 앱으로 입금 및 충전되며, 입금 시 문자 및 앱 알림이 발송됩니다. 문의 사항은 지자체 콜센터 또는 고객센터로 연락하세요.
✅ Q&A
Q1. 지역화폐를 원하지 않으면 현금만 받을 수 있나요?
A1. 네, 신청 시 지역화폐 옵션을 선택하지 않으면 전액 현금으로 지급됩니다. 다만 지역화폐 선택 시 월 5만원이 현금에서 지역화폐로 전환되어 총액은 동일합니다.
Q2. 타 지역에서 발행한 지역화폐도 사용 가능한가요?
A2. 아니요, 지급받은 지역화폐는 해당 지자체 지정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며, 타 지역에서 발행된 상품권은 사용할 수 없습니다. 사용 전에 가맹점 여부를 확인하세요.
Q3. 지역화폐 사용이 어려운 경우 대체 지급 방식이 있나요?
A3. 지역화폐 수령이 어려운 경우, 주민센터 방문 시 사유를 제출하면 전액 현금 지급으로 변경 신청이 가능하며, 지자체 승인을 거쳐 적용됩니다.
'육아브이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안길 맛집 김추일떡갈비 가성비 좋은 곳이에요. (5) | 2025.07.18 |
---|---|
VT코스메틱의 '마일드 리들샷 50' 써본 후기 (3) | 2025.07.17 |
민생지원금을 통해 갑작스러운 생활비 부담을 덜고, 경제적 안정을 찾으세요. (0) | 2025.07.17 |
메디큐브 연어알패드, 메이크업 전 밀착력 진짜 좋아요 (1) | 2025.07.13 |
가경동 맛집 ‘향미각’, 푸짐한 꼬막짬뽕과 유니짜장으로 든든한 한 끼 (0) | 2025.07.12 |